흔히 비만은 몸속 축적된 체지방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를 뜻합니다. 하지만 체지방 측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질량지수(BMI)는 신장과 체중으로
계산을 한 결과값인데요, 보통 체지방량과
체질량지수가 서로 비례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키와 몸무게 만으로 비만도를 판단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지방은 거의 없고, 근육이 많은 보디빌더 또한
비만으로 판정됩니다.
거꾸로 몸에 근육은 하나도 없고, 대신 지방으로 가득 찬
사람이 정상으로 판정받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를 흔히 마른비만이라고 불립니다.
대부분 근육량에 비해 체지방량이 월등히 높은 분들을
지칭하는데요, 팔다리가 가늘고 복부만 툭 튀어나온
ET형 비만이라고 합니다.
체지방률로 비만을 판단할 때
남성은 25%, 여성은 30% 이상이면 마른 비만에 해당됩니다.
흔히 체지방률은 헬스장, 보건소, 병원 등에서
생체전기저항분석과 같은 기계로 쉽게 측정 가능합니다.
과체중보다 마른 비만이 더 위험할 수도 있는데요,
보통 복부, 즉 내장에 지방이 쌓인 경우라
혈중 콜레스테롤, 인슐린 저항성, 중성지방과 같은
안 좋은 수치를 증가시켜,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과 같은
내과적인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마른 비만의 원인으로는 운동부족과 영양부족을 꼽습니다.
1. 운동부족
나이가 들면서 성호르몬과 성장호르몬이 감소하여
자연스럽게 근육이 줄어들게 됩니다.
근육이 줄어들게 되면 신진대사기능도 감소하여
남은 열량이 몽땅 지방으로 쌓이게 됩니다.
규칙적인 근력운동을 통해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고,
근육 강화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꼭 근육운동이 아니더라도
가벼운 산책, 계단 걷기만으로도 늘이는 것이 좋습니다.
2. 영양부족
저칼로리 다이어트, 채소 위주의 다이어트, 불규칙적인 식사
모두 영양부족을 야기시킵니다.
만약 하루 총 섭취하는 열량이 기초대사량보다 낮다면
체중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레 지방보다 근육을 더 먼저
사용하게 됩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근육과 기초대사량이 현저하게 낮아져 살이 잘 찌는 체질로
바뀝니다. 따라서 자신의 기초대사량에 해당되는
칼로리는 꼭 섭취해주셔야 합니다.
여성분들이 다이어트한다고 채소 위주로 식사를 하게 되면,
단백질 부족으로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이 공급되지 못해
근육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마른 비만은 특히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노인분들이나
다이어트를 자주 하시는 여성분들에게 자주 나타나는데요,
근육 대신 지방으로 몸을 채우게 되면
신진대사, 호르몬 조절과 같은 내분비관 이상이 생기며,
운동능력, 체력 저하에도 악영향을 미치니,
평소 건강한 식습관과 근력운동을 꾸준히 하여
근육량을 늘려 몸의 체질을 바꾸시는 게 좋습니다.
'다이어트 & 웰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레오 식단, 구석기 원시인의 식습관 (0) | 2020.07.01 |
---|---|
비만, 현대인들의 고질병 어디까지 알고 있니? (0) | 2020.06.29 |
비만 예방에 가장 좋은 7가지 방법 (0) | 2020.06.29 |
체중감량을 위한 십계명 (0) | 2020.06.29 |
비만의 원인 6가지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