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이어트 & 웰빙

비만, 현대인들의 고질병 어디까지 알고 있니?

 

 

 

전 세계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다이어트와 살 빼기는 

모두가 원하는 관심사인데요,

오늘은 단순히 미용목적을 떠나서 실제 비만에 대한

정의와 종류, 문제점들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비만의 정의는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지방세포가 정상을 훌쩍 뛰어넘을

정도로 늘어나서 체중이 과도하게 나가는 생태랍니다.

근육, 뼈, 체지방, 내장기관, 수분 등과 같이 신체를

이루는 구성요소 가운데 유독 체지방이 많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비만을 수치로 정확하게 계산하는 측정법으로는

표준체중측정법, 체질량지수 법, 체성분분석기, 허리둘레

등등이 존재합니다.

 

 

1) 표준체중측정법

표준체중=(키-100) x 0.9

비만도=(현재 체중-표준체중)/표준체중 x100

10~19(과체중), 20~29(경도), 30~49(중등도), 50(고도)

 

 

2) 체질량지수 법

흔히 BMI라고 알려진 이 방법은 신장과 체중을 통해 

체내 지방량을 추정합니다.

몸무게(kg)/(신장 x신장, 단위 m)

18.5~22.9(정상), 23~24,9(과체중), 25 이상(비만)

 

 

3) 체성분분석기

헬스장이나 병원에 비치된 체성분분석기를 통해

정확하게 체지방률 측정이 가능합니다.

특히 부위마다 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3D 체형측정기,

초음파와 같은 첨단장비도 존재합니다.

 

 

4) 허리둘레

가장 간단하고 쉽게 비만도를 판단할 수 있는데요,

복부는 내장지방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는 부위랍니다.

바로 선 자세에서 늑골 가장 낮은 지점과 

골반 가장 높은 지점의 정 중앙을 측정합니다.

남자는 90CM(36인치), 여자 85(33인치) 이상이면 

비만으로 판단됩니다.

 

 

 

비만의 종류는 소아비만, 단순 비만, 복부비만, 

중후성비만, 산후비만으로 나누어지는데요,

각각 발생원인이 다르므로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 소아비만

어릴 때 과식과 편식과 같은 잘못된 식습관에서 비롯되는

현상입니다. 또는 유전적인 원인(소아 당뇨)에 의해서도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렸을 때 살이 찌게 되면, 체내 지방세포가 늘어나서

나중에 성인이 되어 살을 빼기가 굉장히 힘들어지는 만큼

미리미리 관리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아이의 육체적인 성장과 정서에 악영향을

미칠 확률이 높으니, 사전에 치료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단순비만

말 그대로 섭취 칼로리가 소모 칼로리에 비해 훨씬 많아서

생기는 비만입니다. 한 마디로 많이 먹고 적게 움직이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데요, 그러니 고도비만이 아닌 초기일 경우

건강하고 규칙적인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을 통해

생활습관을 개선한다면 쉽게 극복 가능합니다.

 

 

3. 복부비만

체지방이 주로 허리나 배 주위로 찌는 상태입니다.

보통 불규칙적인 식사, 변비, 폭식, 과식이 주된 원인이며,

지속될 경우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개선해야만 합니다.

 

 

4. 산후비만

임신 중에 체중이 급격하게 는 산모한테서 생기는

비만입니다. 임신 기간 중 호르몬의 불균형과

아이의 영양공급을 위해 과식 편식 습관을 갖거나

산후조리 시 임신 전 상태로 몸이 100% 회복되지

못하고 그대로 지방이 고정됐을 때 생겨납니다.

원래 임신을 하게 되면, 뱃 속에 아이를 위해

임신이나 수유기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연스럽게

저장하게 위해 지방을 축적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절제하게 닥치는대로 드신다면

체중이 급격하게 올라가고, 나중에 산후조리과정에서

더욱 더 체중이 증가할 확률이 높습니다.